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데코레이터 패턴
- apk 빌드 과정
- recyclerview
- http 역사
- flutter
- viewModelScope
- 자이고트
- 내부 단편화
- AAC
- Dispatchers
- 플로이드워셜
- 뷰홀더
- appcompatactivity
- AsyncListDiffer
- 리사이클러뷰
- 안드로이드
- 운영체제
- NestedScrollView
- Android
- 물리 메모리
- appcompatacitivity
- GetX
- 상태관리
- 프로세스
- DiffUtil
- http발전과정
- 절대 주소
- 디자인 패턴
- Kotlin
- 리사이클러뷰풀
- Today
- Total
목록Develop/Kotlin (4)
hong's android
적은 수정을 해야 되는 경우에도 새로운 클래스를 만들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은 비 효율적이다. 클래스 선언과 객체 생성을 동시에 가능하다. 1. 객체 식 (Object expressions) window.addMouseListener(object : MouseAdapter() { override fun mouseClicked(e: MouseEvent) { /*...*/ } override fun mouseEntered(e: MouseEvent) { /*...*/ } }) 추상 클래스나 인터페이스를 구현해서 클래스를 따로 정의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즉, 익명 클래스를 만들 수 있다. class C { private fun getObject() = object { val x: String = "x" } ..
상속과 위임 언제 사용해야 할까? 상속은 “is-a” 와 같이 포함 관계가 있는 다른 클래스로 대체가 되는 경우 위임은 포함관계는 아니지만 다른 클래스 객체를 사용해야하는 경우, 구성의 관계 “has-a” 상속에서의 문제점 class Animal { /* public void run() { System.out.println("달려달려~"); } */ // 메서드 이름을 run에서 dash로 바꿨다. public void dash() { System.out.println("달려달려~"); } } class Dog extends Animal { }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Dog dog = new Dog(); dog.run(..
2장에서 다루는 내용- 함수. 변수. 클래스. enum, 프로퍼티를 선언하는 방법 제어 구조- 스마트 캐스트- 예외 던지기와 예외 잡기 조건문조건문은 문이 아니라 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리턴값이 존재하고 몇몇 경우에 간결하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fun eval (e: Expr): Int = if (e is Num) { e.value } else if (e is Sum》 { eval(e.right》 + eval(e.left) } else { throw IllegalArgumentException (" Unknown expression’’ )}(식이 본문인 경우에 타입추론이 있기 때문에 리턴값을 생략 할 수 있다. 하지만 식이 본문이 아닌 경우 반환 타입과..
1장에서 다루는 내용 -코틀린 기본 기능 데모 -코틀린 언어의 주요 특성 -코틀린을 활용한 안드로이드와 서버 개발 -코틀린이 다른 언어보다 더 나은 점 -코틀린으로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하는 방법 정적 타입 지정 언어 동적 타입 지정 언어와 달리 메서드와 필드에 대한 검증이 컴파일 타임에 일어난다. 정적 타입 지정 언어는 컴파일 타임에 검증이 일어나 여러 장점들이 존재한다. 1. 런타임에 호출할 메서드 검증을 안 해도 되므로 빠르다. 2. 안정적이다. 컴파일 타임에 오류를 검출해서 런타임에 정지될 확률이 낮아진다. 3. 타입을 명시하기 때문에 코드 이해가 빠르다. 4.ide 도구를 이용해서 리팩토링을 안전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타입 명시를 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코드가 길어진다. 코틀린은 타입 추론을 사..